자존 (自尊) 자존 (自尊) “굶주린 자가 혀를 차며 불러서 주는 음식을 먹지 않았다.”는 것에 대하여. 이제 살펴보니, 혀를 차며 부르는 말이 불경(不敬)하기는 하지만, 욕을 하며 주거나 발로 그릇을 밀어서 주는 음식에 비하면 그래도 낫지 않겠는가? 더구나 곧바로 사과를 해서 잘못을 고치려는 군.. 한국의 전통 2014.10.27
1년 중 가장 무더운 시기 三伏이라 부르는 이유는? 1년 중 가장 무더운 시기 三伏이라 부르는 이유는? 三伏은 1년 중 날씨가 가장 더운 때를 가리킨다. 구체적으로 初伏, 中伏, 末伏으로 구분된다. 대체로 陽曆 7월에서 8월에 해당한다. 이 시기는 1년 중 기온이 가장 높고 습도도 높아 무덥다. 三伏을 정하는 기준은 매년 夏至 이후 세 번째 庚日을 初伏, .. 한국의 전통 2011.07.26
歲月따라 儀禮따라 쓰게되는 生活用語 歲月따라 儀禮따라 쓰게되는 生活用語 人生의 年齡이 지나가는 痕迹을 더듬어 볼 때 늘어가는 주름과 함께 부쳐지는 이름이 바뀌어짐을 알게 됩니다. 여기 出生, 年齡, 記念, 慶弔 等에 관련된 名稱과 表現을 整理하여 보고자 합니다. 1. 나이를 나타내는 漢字 출생 弄璋之慶 : 璋은 구슬을 뜻하며 아들.. 한국의 전통 2011.07.10
酒道와 한국의 酒仙 10傑 酒道와 한국의 酒仙 10傑 주도(酒道) 18단계(段階) 1급) 불주(不酒): 술을 아주 못 하거나 안 마시는 사람. 2급) 외주(畏酒): 술을 조금 마시긴 하나 술을 겁내는 사람. 3급) 민주(憫酒): 마실 줄도 알고 겁내지도 않으나 취하는것을 민망하게 여기는 사람. 4급) 은주(隱酒): 겁내지 않고 취할 줄도 알지만 혼자.. 한국의 전통 2011.05.02
朝鮮의 名節 秋夕 이야기 朝鮮의 名節 秋夕 이야기 별건곤 제43호 발행년월일 1931년 09월 01일 중추가절(仲秋佳節) 팔월가우(八月嘉優)라고 하여 달 밝고 철 좋은 추석명절(秋夕名節)이 또 다시 우리를 찾아준다. 명절(名節)을 명절답게 지내지 못하는 우리에게 찾아주는 명절이 무엇이 그리 반가우랴마는 이 명절만은 우리의 명.. 한국의 전통 2010.09.23
메주 쑤기 메주 쑤기 집집마다 메주 쑤기에 한창인 늦가을의 풍경은 어느 나라에서도 볼 수 없는 우리나라만의 풍경이다. 처마 밑 시렁에 주렁주렁 달려있는 풍경은 사람 사는 맛을 느끼게 한다. 아침 일찍부터 깨끗이 씻은 메주콩을 가마솥에 삶아서 절구통에 넣고 절구질을 하여 콩을 으깬 다음 네모 또는 공 .. 한국의 전통 2010.06.22
추석(秋夕)/젯상 추석(秋夕)/젯상 추석은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로 한가위, 중추절(仲秋節) 또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 한다. 한가위늬 '한'은 크다(大)바르다(正)의 의미이고, 한가위는 가배배(嘉徘)와 같은 의미로써 가운데를 뜻한다. 그러므로 한가위위란 8월중에서도 정 가운데 즉 한가운데라는 의미를 담고.. 한국의 전통 2010.06.22
설날/젯상 설날/젯상 한 해의 첫날인 설날과 가장 큰 달이 떠오르는 정월 대보름은 예로부터 우리 민족에게 중요한 명절로서 한식, 단오, 처석 등과 함께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특히, 설날은 새롭게 한 해를 출발한다는 점에서 '삼가는 날' 즉'신일(愼日)'이라 하여 정갈한 마음가짐으로 새해의 첫 날을 맞.. 한국의 전통 2010.06.22
차례 차 례 차례는 설이나 추석과 같은 명절에 조상에게 올리는 제례를 말한다. 이는 조상을 숭배하고 그 은혜에 보답하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차례는 언제 지내는가? 예���에는 매달 초하루와 보름, 그리고 명절에 지냈는데 지금은 대개 설, 추석 등의 명절날에만 지내고 있다. 예전에는 새벽이나 아침.. 한국의 전통 2010.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