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손을 생각하는 마음 후손을 생각하는 마음 [번역문] 현곡 조위한은 우스갯말을 잘하였다. 광해군 때에 여러 공(公)과 모여 술을 마시고 있었는데, 마침 조보(朝報)가 당도하여 조정에서 모후의 폐위를 주청하는 논의가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여러 공이 술잔을 물리치고 길게 탄식하며 말하기를, “『시경』..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자세 2015.04.06
부끄러워할 줄 아는 마음(2014. 12. 6. 其次有恥) 부끄러워할 줄 아는 마음 [번역문] 가장 좋은 것은 부끄러운 행실이 하나도 없는 것이다. 그다음은 부끄러운 행실이 적은 것이다. 그다음은 부끄러운 행실을 없애는 것이다. 그다음은 부끄러운 행실이 부끄러운 것인 줄을 아는 것이다. 그다음은 부끄러운 행실을 부끄러워하는 마음이 있..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자세 2014.12.16
‘사람닭’ 이야기 - 자식 사랑과 부모에 대한 효성 ‘사람닭’ 이야기 - 자식 사랑과 부모에 대한 효성 대한민국을 절망케 하는 사고에 온 국민이 슬프다. 모두들 흐느낀다. 낱낱이 드러난 대한민국의 민낯에 얼굴이 붉어진다. 아이들 보기가 부끄럽다. 그동안에 이루었던 대한민국의 모든 것이 한꺼번에 무너졌다. 자존심도 자긍심도 세..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자세 2014.05.05
효도는 자식이 배운다 효도는 자식이 배운다 먹을거리가 턱없이 모자라 ‘고려장’ 풍습이 있었던 옛날이야기다. 고려장을 하기 위해 아들이 늙은 어미를 지게에 지고 산에 올랐다. 노모(老母)와 함께 지게도 산에 버리고 돌아서려는데 이를 지켜보고 있던 어린 아들놈이 그 지게를 가지고 내려오는 것이 아닌가. 의아하게 ..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자세 2011.06.17
경천(敬天)은 만행지본(萬行之本) 경천(敬天)은 만행지본(萬行之本) < 李 定 儀 > 하늘(天)을 上帝라 하여 宇宙 萬物의 創造主이자 모든 自然 攝理의 主宰者로 보고 섬겼음은 東‧西와 古‧今의 聖賢들의 一致된 敬天思想이다. 程子는 上宰는 「하늘의 宰」이며 「宰는 主宰한다」라 했고, 孔子 또한 天‧天命 및 神에 대하여서 仁..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자세 2010.05.20
진정한 종중(宗中)의 의미(意味) 진정(眞正)한 종중(宗中)의 의미(意味) 종중(宗中)은 조상숭배(祖上崇拜)라는 우리민족 고유의 정신을 계승하기 위하여 자연발생적으로 모인 협동체(協同體)로서, 그 역사(歷史)는 무려 우리민족의 역사와 같이하는 오래된 조직(組織)입니다. 그러나 근래 종중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여 분쟁이 일어나고..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자세 2010.05.12
종중규약(宗中規約) 제정을 위한 검토사항 종중규약제정(宗中規約制定)을 위한 검토사항(檢討事項) ○종중규약(宗中規約)의 모형종중(模型宗中)을 민법(民法)에서 권리능력(權利能力)이 없는 사단으로 보며 당사자 능력, 등기 능력을 인정하고 있는 바, 종중 재산권에 대한 법률행위를 원만하게 하기 위해서는 종중규약(宗中規約)이 반드시 있..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자세 2010.05.12
종중(宗中)의 올바른 개념(槪念)에 대한 고찰(考察) 종중(宗中)의 올바른 개념(槪念)에 대한 고찰(考察) 우리민족이 반만년의 역사를 통하여 동북 아세아 지역에 정착하면서 방방곡곡에 부족국가형태로 분포한 종족집단의 정신적 중심점이 제사장 또는 종중인바 삼한시대 이후부터는 성씨(姓氏)를 갖게 되면서 관향(貫鄕)에 의한 독특한 조..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자세 2010.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