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중업무 관련 법률상식 종중업무 관련 법률상식 1. 종원의 자격 종중은 종원의 집합체로 이루어진다. 대법원은 "공동선조의 성과 본을 같이하는 후손은 성별의 구별 없이 성년이 되면 당연히 종중의 구성원이 된다"(2005. 7. 21. 선고 2002다 1178 전원합의체 판결)고 판시한 바 있다. 이제 '종원의 자격이 성년 남자로..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이해 2014.06.28
이구 저하(李玖 邸下) 이구 저하(李玖 邸下) 지금 장례 중인 조선왕조 마지막 왕족인 왕세손(王世孫) 이구(李玖)의 존호(尊號)로 저하(邸下)라는 낯선 말을 쓰고 있다. 한·중·일(韓中日) 한문 문화권에서는 상대방을 높이기 위해 스스로를 낮추는 아래 하(下) 존칭의 역사가 유구하다. 이를테면 폐하(陛下) 전하(殿下) 각하(..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이해 2011.03.01
종손 [宗孫] 종손 [宗孫] 요약 대종(大宗) ·소종(小宗)의 적장자손(嫡長子孫). 본문 종가의 혈통을 계승하고 조종(祖宗)의 제사를 지내는 사람이다. 사손(祀孫)이라고도 하며, 중국 종법(宗法)에서는 종자(宗子)라 한다. 종래의 입양은 주로 종손의 대가 끊기는 것을 방지하려는 데 목적이 있었다. 종손은 본래 종족..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이해 2011.02.22
신도비 건립에 즈음하여 신도비 건립에 즈음하여 1. 남양주시의 연혁과 자연환경 1-1 연 혁 남양주시는 역사적으로 양주의 남쪽과 기타 인접한 시,군과의 행정구역 통폐합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되었다. 따라서 1980년 이전의 남양주시의 연혁은 곧 양주군의 역사이기도 하다. ¹⁾ 일찍부터 남쪽의 한강 유역 주변에서 생활하던..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이해 2010.08.13
제사에 소용되는 용어 풀이 <제사에 소용되는 용어 풀이> 상차림의 기본은 밥, 국, 술, 떡, 국수, 탕, 적(육적, 어적, 계적으로 우羽, 모毛, 린鱗의 순) ․전(부침개), 포, 나물(채소), 김치(침채), 과일이다. 우암 송시열 선생은 ‘고인이 평소에 즐겼던 음식이면 예에 어긋나지 않는 한 어떤 음식이든 정성을 들여 올리면 무방하..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이해 2010.08.07
전주 이씨 (全州 李氏) 전주 이씨 (全州 李氏) 본관 연혁 전주(全州)는 전라북도 중앙에 위치한 지명으로 고대 마한(馬韓)의 원산성(圓山成)에서 유래하며, 백제시대에 완산(完山) 또는 비사벌(比斯伐)·비자화(比自火) 등으로 불렸다가, 555년(위덕왕 2)에 완산주(完山州)로 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완(完)을 의역(意譯)..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이해 2010.05.21
의안대군과 궁평부락(宮坪部落) 의안대군과 궁평부락(宮坪部落) 남양주군 미금면 평내리(南楊洲郡 渼金面 坪內里) 산 97번지 백봉산(栢鳳山=잣봉) 서쪽에는 조선조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중형(仲兄)인 이화(李和) 의안대군(義安大君)의 묘소가 있고, 같은 산 54번지에는 옛 궁(宮)터가 있다. 이는 지금으로부터 약 600년 전 태조가..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이해 2010.05.19
위화도(威化島) 회군(回軍)의 당위성(當爲性) 위화도(威化島) 회군(回軍)의 당위성(當爲性) ≪ 李 鴻 儀 ≫ 근래 역사적(歷史的)인 사실도 모르는 일부 몰지각(沒知覺)한 사람들이 태조고황제께서 위화도 ���군을 하지 않았으면 요동 땅을 장악한 옛 고구려와 같은 거대(巨大)한 나라가 되었을 것이라는 등 허무맹랑(虛無孟浪)한 말들을 하는데 ..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이해 2010.05.18
전주이씨(全州李氏)의 시조(始祖) 始祖 司空公 翰 * 始祖 司空公 翰 우리 전주이씨의 시조의 휘(諱)는 한(翰)이요, 호는 견성(甄城)이다. 덕망이 높고 문장이 탁월하여 신라 문성왕 때 사공(司空) 벼슬을 지냈으며, 그 후 대대로 신라시대에 벼슬을 해왔다. 배위(配位)인 경주김씨는 신라 태종무열왕의 10세손 군윤(軍尹) 은의(殷義)의 딸이..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이해 2010.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