戰亂過中에 入한 在中七十萬同胞 +戰亂過中에 入한 在中七十萬同胞 (전란과중에 입한 재 중칠십만동포) 개벽 제52호, 발행년월일 1924년 10월 01일 필자 : 車相瓚 거상찬, 기사형태 : 논설 離鄕去國하던 30餘年의 役事 = 酷吏, 馬賊과 惡戰苦鬪하는 悲慘한 生活 = 每年 增加되는 1,700의 留學生 = 吳偑孚陳前에 活躍하는 四勇將 1. 緖言 朝鮮과.. 산운종중/고려 역사 2011.03.20
고봉산하(高峰山下)의「나절」陵 고봉산하(高峰山下)의「나절」陵 恭讓王의 最後 審判場/高陽 崔承斗 동아일보 1932년 9월 14일 서경역(西京域) 밖엔 불 비치오. 안주역(安州域) 밖엔 연기로다. 그 사이 오고가는 이원사(李元師)여. 우리 백성(百姓) 건지시오. 이것은 지금으로부터 오백사십년전 고려(高麗)시대에 백성이 망해가는 만월.. 산운종중/고려 역사 2011.03.20
공주(公主)와 옹주(翁主) 공주(公主)와 옹주(翁主) 이덕일 · 역사평론가 공주(公主)라는 말의 유래��� 무엇일까? 당(唐)나라 서견(徐堅) 등이 편찬한 '초학기(初學記)'에는 "주(周)나라 시절을 상고해보니 천자의 딸은 왕희(王姬)라고 했지 공주라는 칭호는 듣지 못했다"라는 기록이 있다. 전국시대(戰國時代·서기전 475~221).. 산운종중/고려 역사 2010.07.25
고려왕조(高麗王朝)는 근친(近親)의 장(場) 고려왕조(高麗王朝)는 근친(近親)의 장(場) 태조 왕건은 삼국을 통일하는데 무력 대신 화친을 앞세우면서 나아갔다. 신라 말 중앙정부가 제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각처에서 호족들이 득세하여 지방권력을 잡자, 왕건은 지방호족과 결혼을 함으로서 그 지역을 점령하였고, 이것이 계속되자 마침내 통일.. 산운종중/고려 역사 2010.06.13
고려 왕조표 (高麗 王朝表) 고려 왕조표 (高麗 王朝表) 고려(918〜1392) 왕실 연표(34대, 475년) 王代 (왕대) 年代(연대) 王代 (왕대) 年代(연대) 1대, 태조 918~943 18대, 의종 1146~1170 2대, 혜종 943~945 19대, 명종 1170~1197 3대, 정종 945~949 20대, 신종 1197~1204 4대, 광종 949~975 21대, 희종 1204~1211 5대, 경종 975~981 22대, 강종 1211~1213 6대, 성종 981~997 23대.. 산운종중/고려 역사 2010.05.14
정도전(鄭道傳)에 대하여 정도전(鄭道傳)에 대하여 1342년(충혜왕 복위 3)∼1398년(태조 7). 고려말 조선초의 정치가·학자. 본관은 봉화(奉化). 자는 종지(宗之), 호는 삼봉(三峰). 1. 가계 봉화호장 공미(公美)의 고손자로, 형부상서 운경(云敬)의 맏아들이다. 선향(先鄕)은 경상북도 영주이며, 출생지는 충청도 단양 삼.. 산운종중/고려 역사 2010.05.08
고려말 정사의 문란과 왕업의 일어남 고려말 정사의 문란과 왕업의 일어남 중 변조(遍照)는 본래 옥천사(玉川寺) 여종의 아들인데, 어머니가 천하므로 그 무리에 끼지 못하였다. 이에 앞서 공민왕이 일찍이 꿈을 꾸었는데, 어떤 사람이 칼을 빼어서 찌르려 하자, 어떤 중이 구하여 주어서 곤경을 벗어났다. 왕이 기억하고 있었는데, 마침 김.. 산운종중/고려 역사 2010.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