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사람과 불행한 사람의 차이 행복한 사람과 불행한 사람의 차이 1. 행복한 사람은 남을 위해 기도하고, 불행한 사람은 자기만을 위해 기도한다. 2. 남의 이야기를 열심히 들어 주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고, 한 소리 또 하고, 또 하고 하는 사람은 불행한 사람이다. 3. 남의 칭찬을 자주 하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고, 자기자랑을 하.. 산운종중/역사 상식 2010.08.13
신도비 건립에 즈음하여 신도비 건립에 즈음하여 1. 남양주시의 연혁과 자연환경 1-1 연 혁 남양주시는 역사적으로 양주의 남쪽과 기타 인접한 시,군과의 행정구역 통폐합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되었다. 따라서 1980년 이전의 남양주시의 연혁은 곧 양주군의 역사이기도 하다. ¹⁾ 일찍부터 남쪽의 한강 유역 주변에서 생활하던..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이해 2010.08.13
조선 시대의 왕릉 조선 시대의 왕릉 1. 조선 왕릉이란? ❯조선 최고 통치자의 무덤, 왕릉 조선왕조는 1392년 탄생 이래 왕조의 문을 닫은 1910년까지 518년의 세월을 이어오면서 27대에 걸친 왕과 왕비를 배출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왕과 왕비를 포함한 왕실 가족의 무덤을 신분에 따라 능(陵)ㆍ원(園)ㆍ묘(墓)로 구분하였는데.. 산운종중/조선 역사 2010.08.12
왕릉 기제사에는 조선의 歷史가 흐른다 역 사 학 적 관 점 으 로 본 조 선 왕 릉 왕릉 기제사에는 조선의 歷史가 흐른다 어릴 때 소풍이나 놀이의 장소로 왕릉을 찾곤 하였다. 그러한 왕릉이 이제 어엿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세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에는 왕릉에서 지내는 기제사가 종종 언론의 관심거리가 되곤 한다. 기제사.. 산운종중/조선 역사 2010.08.07
제사에 소용되는 용어 풀이 <제사에 소용되는 용어 풀이> 상차림의 기본은 밥, 국, 술, 떡, 국수, 탕, 적(육적, 어적, 계적으로 우羽, 모毛, 린鱗의 순) ․전(부침개), 포, 나물(채소), 김치(침채), 과일이다. 우암 송시열 선생은 ‘고인이 평소에 즐겼던 음식이면 예에 어긋나지 않는 한 어떤 음식이든 정성을 들여 올리면 무방하.. 산운종중/숭조의 바른 이해 2010.08.07
주요 등록 신도비(神道碑)/문화제청 주요 등록 신도비(神道碑)/문화제청 종 목 보물 제584호 명 칭 윤문효공신도비(尹文孝公神道碑)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시 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기 지정(등록)일 1975.03.31 소 재 지 전남 구례군 산동면 이평리 산91-1 소유자(소유단체) 남원윤씨종중 관리자(관리단체) 남원윤씨종중 신도.. 산운종중/유물,유적 답사 2010.07.31
신도비(神道碑)에 대한 고찰(考察) 신도비(神道碑)에 대한 고찰(考察) <출처-1> 와혈(窩穴)/이완규 저/예문서원 2001년 석비는 크게 세부분으로 나뉘어 진다. 비석을 받치는 대좌(臺座), 비문을 새기는 비신(碑身), 그리고 비신을 덮는 개석(蓋石) 또는 관석(冠石)이다. 개석(蓋石)을 뿔 없는 용(龍) 즉 ‘이무기’로 장식할 경우 ‘이수년.. 산운종중/유물,유적 답사 2010.07.31
종묘(宗廟) 종묘(宗廟) 종묘 종묘는 왕의 조상들을 모신 사당이다. 한국사에서 종묘의 건립은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고구려, 백제, 신라는 각각 시조묘를 세우고 제사를 지냈는데, 이들 시조묘도 일종의 종묘라고 할 수 있다. 한국사에서 제후국체제의 5묘제는 통일신라시대인 신문왕(神文王) 7.. 산운종중/조선 역사 2010.07.30
왕실족보(王室族寶) 왕실족보(王室族寶) 왕실족보 족보는 특정 성씨집단의 계보를 기록한 책이다. 문자가 발명되기 이전에는 씨족이나 부족의 역사를 구전으로 전승하는 사람들이 족보의 역할을 대신했다. 문자가 발명되고 국가제도가 발달하면서 족보는 왕실에서부터 작성되기 시작하였다. 현존 족보는 없지만 삼국시.. 산운종중/조선 역사 2010.07.30
공주(公主)와 옹주(翁主) 공주(公主)와 옹주(翁主) 이덕일 · 역사평론가 공주(公主)라는 말의 유래��� 무엇일까? 당(唐)나라 서견(徐堅) 등이 편찬한 '초학기(初學記)'에는 "주(周)나라 시절을 상고해보니 천자의 딸은 왕희(王姬)라고 했지 공주라는 칭호는 듣지 못했다"라는 기록이 있다. 전국시대(戰國時代·서기전 475~221).. 산운종중/고려 역사 2010.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