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의 각종 진기록 <조선 시대 역대 왕들의 진기록 > 1) 32년간 세자로 있었던 임금은 순종 조선 마지막 왕인 순종 임금은 2세 때에 세자로 책봉되어 32년간을 세자 신분으로 지냈다. 2) 죽어서 왕이 된 인물은 조선조에는 죽은 후에 왕으로 추존된 인물이 다섯 명인데, * 덕종은 세조[수양대군]의 아들로서 세조1년에 세.. 산운종중/역사 상식 2010.07.25
능지처참에 부관참시, 그 사관의 길 <이덕일의 시대에 도전한 사람들> 능지처참에 부관참시, 그 사관의 길 한겨레 21 2007년 04월 26일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소장 훈구파와 연산군의 노여움을 사 34살에 죽은 김일손 연산군 4년(1498) 7월1일. 윤필상·유자광 등 훈구 공신들이 차비문에 나가서 연산군에게 비사(秘事)를 아뢰겠다.. 산운종중/조선 역사 2010.07.25
왜 조선은 정도전을 버렸는가 왜 조선은 정도전을 버렸는가 이한우 지음/요약본 조선 500년을 돌아보다 2001년부터 2007년까지 7년에 걸쳐 태조부터 순종까지 조선왕조실록 번역판을 완독했다고 하면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하며 묻는 것이 바로 ‘조선 사람들은 지금의 우리와 어떻게 달랐는가?’ 하는 것이다. 그러면 필자는 늘 이렇.. 산운종중/조선 역사 2010.07.03
조선창업(朝鮮創業)과 한양천도(漢陽遷都) 조선창업(朝鮮創業)과 한양천도(漢陽遷都) 李氏朝鮮太祖 李成桂는 무혈혁명으로 高麗王氏의 뒤를 이어 西紀1394年 7月 開城 壽昌宮에서 즉위식을 성대히 하고 國號를 朝鮮이라 하였다. 즉위하면서부터 太祖는 천도할 것을 결심하였다. 새 王朝의 위관을 만백성에게 보이려는 뜻도 있었으나, 또 전해오.. 산운종중/조선 역사 2010.06.27
성씨(姓氏)에 대한 상식(常識) 성씨(姓氏)에 대한 상식(常識) 성씨의 기원 姓은 혈족관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정된 것으로 이것이 언제부터 발생하였는지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이미 인류사회가 시작되는 원시시대부터 이러한 관념을 가지고 있었다. 왜냐하면 원시 사회는 혈연을 기초로 하여 모여 사는 집단체로 조직되었기 때.. 산운종중/역사 상식 2010.06.27
조선 시대 궁녀들의 생활상 조선 시대 궁녀들의 생활상 MBC 사극 [대장금](김영현 극본, 이병훈 연출) 열풍이 거세다. 신분과 성의 굴레를 뛰어넘어 궁중 최고의 요리사로, 또 왕의 주치의로까지 성공한 조선조 중중 때 실존 여성 서장금의 일대기를 그린 이 드라마는 방송 6주 만에 시청률 40%를 넘어선 데 이어 소설과 만화, 동화로.. 산운종중/조선 역사 2010.06.13
고려왕조(高麗王朝)는 근친(近親)의 장(場) 고려왕조(高麗王朝)는 근친(近親)의 장(場) 태조 왕건은 삼국을 통일하는데 무력 대신 화친을 앞세우면서 나아갔다. 신라 말 중앙정부가 제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각처에서 호족들이 득세하여 지방권력을 잡자, 왕건은 지방호족과 결혼을 함으로서 그 지역을 점령하였고, 이것이 계속되자 마침내 통일.. 산운종중/고려 역사 2010.06.13
왕조시대(王朝時代)의 쿠데타 왕조시대(王朝時代)의 쿠데타 반정(反正)과 역성혁명(易姓革命) 한국사에서 고대국가가 형성된 이후 왕위는 원칙적으로 세습되었다. 세습제의 특징은 아버지가 돌아가시면 아들이 그의 지위와 권한 등 제권리를 상속받는데 있다. 군주세습제의 장점은 미래의 후계자를 일찍 결정함으로써 후계분쟁을.. 산운종중/역사 상식 2010.06.13
1941년 한양부근 명산기행 (漢陽附近 名山紀行) 1941년 한양부근 명산기행 (漢陽附近 名山紀行) 삼천리 제13권 제7호, 발행 년월일 1941년 07월 01일 北漢山記 車相瓚 (1887~1946) 문필가. 호 청오(靑吾). 春南漢 秋北漢이라고 옛날부터 南漢山은 봄경치가 좋기로 유명하고 北漢山은 가을경치가 좋기로 유명하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남한은 봄철에 躑躅花가 .. 산운종중/유물,유적 답사 2010.06.12
京城이 가진 名所와 古蹟 京城이 가진 名所와 古蹟 별건곤 제23호, 발행 년월일 1929년 09월 27일 필자 ; 考古生 (蘆菴 車相瓚의 筆名) 景福宮-昌德宮-德壽宮-於義宮-慶熙宮-慈壽宮-仁慶宮-毓祥宮-永禧殿-璿源殿-長生殿-大廟-獨立門-獨立館紀念碑-園丘壇-獎忠壇-塔洞公園-社稷-三角山-北漢山城-洗劍亭-石坡亭-南山-北岳山-漢江鐵橋.. 산운종중/조선 역사 2010.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