歲月따라 儀禮따라 쓰게되는 生活用語
人生의 年齡이 지나가는 痕迹을 더듬어 볼 때 늘어가는 주름과 함께 부쳐지는 이름이 바뀌어짐을 알게 됩니다. 여기 出生, 年齡, 記念, 慶弔 等에 관련된 名稱과 表現을 整理하여 보고자 합니다.
1. 나이를 나타내는 漢字
출생 弄璋之慶 : 璋은 구슬을 뜻하며 아들을 낳은 기쁨을 표시함.
弄瓦之慶 : 瓦는 실패를 뜻하며 딸을 낳은 기쁨을 표시함.
2∽3세 提孩 : 提는 손으로 안긴다는 뜻, 孩는 어린아이라는 뜻.
孩兒(해아)라고 쓰기도 함.
15세 志學 : 孔子가 15세에 學問에 뜻을 두었다는 데서 유래함.
六尺 : 三尺童子는 10세 전의 1미터 가량을 나타내고 6尺은 15세를 표시.
20세 弱冠 : 冠을 쓴 어른이 되었지만 아직은 弱하다는 뜻, 남자를 표시함.
芳年 : 꽃다운 나이의 뜻, 여자를 표시함.
30세 而立 : 孔子가 30세에 自立하였다는 데서 유래함.
立志 : 뜻이 세워졌음.
40세 不惑 : 孔子가 40세에 모든 것에 迷惑되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함.
强仕 :『禮記』에 四十日强而仕 즉 40세에 강하여 벼슬에 나아간다고 함.
48세 桑年 : 桑의 俗字는 十자 세 개 밑에 木을 쓰는데 파자하면 十자 네 개에
八자가 됨.
50세 知名 : 孔子가 50세에 天命(인생의 뜻)을 알았다는 地天命을 줄임.
60세 耳順 : 孔子가 60세에는 모든 일을 순탄하고 화목하게 받아들인다고 함.
六旬 : 旬은 원래 열흘을 나타내는데 60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씀.
61세 還甲 : 還曆, 回甲이라 하는데 태어난 해의 干支로 돌아간다는 뜻이고,
華甲의 華자를 파자하면 十자가 6번과 一자가 하나 나옴.
62세 進甲 : 새로운 甲자로 나아간다는 뜻.
64세 破瓜 : 瓜를 파자하면 八八이 되어 64세에 일에서 물러날 띠를 나타냄.
66세 美壽 : 美는 바로 보나 거꾸로 보나 六十六임.
70세 從心 : 孔子가 70세 되면 마음대로 행동하여도 도리에 어긋나지 않는다함.
古稀 : 杜甫의 詩, 曲江의 人生七十古來稀에서 유래됨.
71세 望八 : 팔십을 바라본다는 뜻.
77세 喜壽 : 喜차를 초서로 쓰면 七十七과 같이 때문임.
80세 傘壽 : 傘자의 略字가八자 아래에 十자를 쓰는데서 유래됨.
81세 半壽 : 半자를 파자하면 八十一이 됨.
望九 : 구십을 바라본다는 뜻임. ‘할망구’라는 말의 어원이기도 함.
88세 米壽 ; 米자를 파자하면 八十八이 됨. 또 쌀을 수확할 때까지 농붕의 손이
88번 쓰인다는 데서 유래됨.
90세 卒壽 : 卒자의 俗字가 九자 밑에 十자를 쓰는데서 유래됨.
凍梨 : 凍자는 얼다, 梨자는 배이므로 90세에는 얼굴에 언 배와 같은
斑點이 생긴다는 뜻.
九秩 : 아홉의 차례라는 뜻으로 90줄에 들게 됨을 표현함.
91세 望百 : 백세를 바라몬다는 뜻.
99세 白壽 : 百에서 一을 빼면 白이 되므로 산술적 표현임.
100세 上壽 : 세자리 수로 바뀌어 위로 올랐다는 뜻.
120세 天壽 : 하늘이 준 壽命을 다 누렸다는 뜻.
2. 結婚記念 行事의 名稱
結婚후의 經過 年數에 따라 기념 행사를 다음과 같이 부릅니다.
1年 紙婚式 2年 藁婚式 3年 草婚式
5年 木婚式 7年 花婚式 10年 朱錫婚式
12年 皮婚式 15年 水晶婚式 20年 陶器婚式
25年 銀婚式 30年 眞珠婚式 35年 珊瑚婚式
40年 毛織婚式 45年 紅玉婚式 50年 金婚式
60年 回婚式 75年 金剛婚式
3. 慶弔相間의 禮節
慶祝과 弔問의 行事에 알캊은 禮節을 갖추기 위한 表現을 羅列한 것입니다.
• 結婚 : 祝 結婚, 祝 華婚, 祝 盛婚, 祝儀
• 還甲 : 祝 壽筵, 祝 回甲, 祝壽宴, 慶儀
• 祝賀 : 祝 合格, 祝 入學, 祝 卒業, 祝 發展, 祝 優勝
• 歲時 : 略禮, 歲饌, 薄禮, 歲儀
• 謝禮 : 略禮, 薄謝, 薄禮, 菲品
• 喪家 : 賻儀, 弔儀, 謹弔, 尊儀
• 大小祥 : 菲禮, 薄儀, 略禮, 菲品
글쓴이 : 金東奭/弘益大學校 名譽敎授
'한국의 전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존 (自尊) (0) | 2014.10.27 |
---|---|
1년 중 가장 무더운 시기 三伏이라 부르는 이유는? (0) | 2011.07.26 |
酒道와 한국의 酒仙 10傑 (0) | 2011.05.02 |
朝鮮의 名節 秋夕 이야기 (0) | 2010.09.23 |
메주 쑤기 (0) | 2010.06.22 |